뭔가 목이 칼칼하고 기도가 좁아지는 느낌. 혹시나 싶어 병원에 가 신속항원 검사를 했다. 결과는 음성. 왠지 모르게 대비를 해야할 것 같았다. 집 근처 약국 세 곳을 돌았지만 인후스프레이며 스트렙실이며 약이 없었다. 대체할 수 있는 약을 한 종류씩 사와 쟁여놓고 자고 일어나니 확진.
불과 몇 시간 전엔 음성이었잖아….
그렇게 2,3일 동안 기침과 인후통으로 스트렙실을 물고 자다가 4일째 되는 날부턴 큰 통증 없이 기침과 가래만 나오기 시작했다. 축농증이나 비염에 걸린 것처럼 코 뒷부분과 목에 끈적한 뭔가가 꽉 막고 있었고, 기침을 할 때마다 가래가 나왔다. 기침도 멈출 겸 목사탕을 종류별로 주문했다. 사탕을 먹는 동안에는 기침도 덜하고 기분탓인지 가래도 옅었다. 화장실에 앉아서 샴푸 후면을 보고 있는 것처럼 우연히 사탕 후면 스펙을 보다가 신기한 이름을 발견했다. 맥문동. 흔하지 않은 단어가 만나서 그런가. 뜬금없이 소격동이 떠오르기도 한다.
'어? 이 꽃?'
대부분 사진을 보면 비슷한 반응이지 않을까. 이름은 낯설어도 눈에는 익은 꽃. 맥문동은 길거리나 집앞 화단, 공원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보라색 꽃이다. 서울숲을 산책할 때에도 본 적이 있다. 에코 플랜트라고 해서 공기정화나 관상용으로 많이 들인다는데 개인적으론 가정집 실내에서는 본 적이 없는 것 같다. 그나저나 이 꽃이 거담(가래제거)에 도움이 된다고?
약재로 쓰이는 곳은 정확히 말하면 꽃이 아닌 뿌리다. 맥문동은 추운 겨울을 버티고 살아낸 강한 생명력을 뿌리에 가득 담고 있다가 이듬해 봄철에 수확된다. 그래서 봄을 제철로 꼽는다. 이런 부분은 이전 편의 칡과 상당히 비슷하다. (▶ 참고: 칡칡맞아. 숙취가 지독해서 천장만 보고 누워있던 날) 봄이 제철인 뿌리 약재들은 다 이런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지 않을까. 예쁘게도 맥문동은 이름에도 겨울(冬)이 있다. 사계절 내내 시들지 않고 겨울에도 푸르기 때문에.
재밌게도 오래된 의학서적에는 이 맥문동이 불사초로 기록되어 있다고 한다. 불로불사 하면 절대 빠질 수 없는 진시황 역시 맥문동과의 썰이 있는데, 한날 새가 물어온 부추잎 비슷한 풀을 보고 그게 불사초인 줄 알아 영주산(제주 한라산)을 뒤적거린 것이다. 귀곡자가 진시황 더러 그 풀을 죽은 자에게 올려두면 수일 내에 살아난다, 동해 영주산에 있다고 말한 탓인데 아마도 겨우내 시들지 않고 푸르를 수 있는 그 생명력을 두고 말한 게 아닌가 싶다.
죽은 자가 살아난다니…. 넷플릭스 <킹덤>이 생각났다. 마침 킹덤의 생사초도 보라색 꽃이네!